정보창고/일반상식

"010"지금도 누르세요?

풍란의 향기 2012. 2. 19. 13:13

휴대폰 '010'번호, 아직 누르세요?

 휴대폰 '010'번호, 아직 누르세요?
'010' 끼리는 '010' 누를 필요없어

"아저씨 혹시 아셨어요? '010'끼리는 전화걸 때 '010' 안눌러도 되는 거."

아이폰 키패드에서 그동안 '0,1,0' 하나씩 꾹꾹 눌러가며 성의껏 통화했는데…. 심지어 키패드에서 0과 1은 대각선 위치로 거리가 멀어 한손으로 누를 때는 가뜩이나 짧은 손가락에 낑낑대기 일쑤였다.

지인들에게 물어보니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젊은층에서는 그나마 일부 알고 있었지만, 자타가 공인하는 '얼리어답터'나 심지어 통신사에 다니는 직원들 중에도 모르는 이가 많았다.

자기번호가 '010'으로 시작하면 '010'으로 시작하는 번호에 전화를 걸 때 '010'을 뺀 나머지 번호만 누르면 통화할 수 있다. 011 가입자끼리 뒷자리 7개 번호만 눌러도 통화가 가능한 것과 같은 식이다. 통신사나 휴대폰 기종과는 상관이 없다. 서울 시내에서 일반전화를 걸 때 '02'를 누르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

정부는 '010 통합번호' 정책을 2004년부터 시행하면서 전화번호의 효율적 관리, '01X' 식별번호의 통신사 브랜드화 방지를 내걸었다.

시민단체와 소비자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자 '010'을 꾹꾹 누르지 않아도 돼 결국 이용자에게도 편리하다는 점을 그 근거로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7년이 지난 지금 정부가 내세웠던 편의성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아 보인다.

자주 통화하는 휴대전화 번호는 대부분 단축키로 저장하겠지만, 스마트폰 보급 등으로 '010' 번호가 대세가 되는 상황에서 알아두면 분명 유용한 팁이다.

특히 어린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부모의 휴대폰을 갖고 놀던 아이가 마구잡이로 번호를 누르더라도 타인의 휴대폰에 쉽게 연결되는 실례를 하기 쉽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우리 애가 '010' 을 안다며 대견해 할 일이 아니다.


Michel Berger이 작곡한 곡으로 1968년 Jean-Francois Michael이 불러 크게 히트하였지만

국내에서는 국내에서는 프랑스 출신의 팝 오케스트라 "프랑크 푸르셀"이 연주한

버젼이"이종환의 밤의 디스크쇼"의 시그널로 사용되며

 더 큰 인기를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