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에 와닿는 글

- 퇴계 이황의 -운우지정(雲雨之情)


    
    
     운우지정(雲雨之情)
    
    朝鮮時代때 大學者를 말한다면
    누구나 退溪 李滉과
    栗谷 李珥를 말하지요.
    그런데 두 聖賢의 面面을 살펴보면
    재미있는 逸話가 많아요.
    
    예를들면 退溪李滉은 杜香이란 愛妾과 깊은 사랑을 나누었으며 Image result for 장녹수 栗谷李珥는 여자를 멀리하는듯 하면서도 妾室을 많이 두었다 하지요. 退溪는 30대중반에 아내와 死別한뒤 몇해가 흐른 뒤까지도 혼자 지내고 있었어요 때문에 그를 찾아오는 손님들은 하나같이 退溪에게 새장가 들기를 勸誘했지요. 退溪역시 손님을 接待할때나 祭祀를 치를때나 안주인의 손길이 必要한것을 折感하고 있었지만 自身이 직접 아내감을 구하기도 憫忙하여 속으로 걱정만하고 있던터에 어느날 弟子가 人事차 찾아 왔다가 불쑥 하는말이 “사모님이 돌아가신지도 몇해가 지났으니 이제 스승님도 새 마님을 들이셔야 될텐데 걱정입니다” “허허 ~ 글쎄나.. 자네가 참한 閨秀 하나 구해주면 내 새장가를 들지 ㅎㅎ ” 退溪는 웃으며 弄談처럼 말했다. 弟子는 뜻밖의 對答에 조금 놀라며 되물었다. “정말이십니까? 스승님 眞情 제가 仲媒를 하오리까?” “허허, 그렇다니까 말로만 그러지 말고 어디 참한 閨秀가 있으면 仲媒를 서게나~” “그렇다면… 아랫마을에 사는 권 進士 어른을 아시는지요?” “권 進士? 알다마다!!” “그분에게 나이가 좀 들긴 했어도 시집 안간 딸이 하나 있다고 하던데 ..” “그래? 올해 몇살이라고 하든가?” 退溪는 선뜻 내키는듯 되물었다. “스물여덟이라고 하옵니다” “음.. 나이가 꽤 들었군! 그런데 어째서 아직까지 시집을 못 갔다 하든가?” “흠이 조금 있다고 하던데요?” “흠이 있다고?” 退溪는 조금 緊張하며 물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좀 모자라고 籌策(주책)인 面이 있다고 하더이다” 弟子는 조심스럽게 말했지요 “허허, 그래? 좀 모자라는것이 잘났다고 건방떠는 것보다야 훨씬 낫지 않겠는가?” 退溪는 웃으며 말했다.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제가 당장 중신을 서겠습니다 스승님~” "허허 이사람 급하긴 ~~ " 退溪가 별 對答 없이 입가에 微笑만 짓고 있자 弟子는 그 모습을 承諾의 表示로 받아들였지요 그리고 그길로 권 進士를 찾아가 意中을 물어보았어요 권 進士는 그렇지 않아도 딸자식이 나이가 차도록 시집을 못간것이 못내 걱정스럽던 터에 退溪같은 高名한 학자가 自身의 딸을 거두어준다고 하자 두말없이 欣快히 承諾했지요 그렇게 해서 退溪는 弟子의 중신으로 권 進士의 딸을 婦人으로 맞아들였어요. 서툰 솜씨나마 부지런히 집안을 꾸려나가던 권씨 婦人은 어느날 남편 退溪의 두루마기를 손수 지어 내놓았지요. “아니 이것을 婦人이 직접 만들었단 말이오?” “그렇습니다 서방님!! ” 退溪는 婚禮를 올리기 전부터 아내가 좀 모자란다는 것을 익히 알고 있었기에 별다른 期待를 하지 않았는데 새장가를 들고 나서 처음으로 새옷을 받고 보니 여간 기쁘지 않았어요. “수고했소 정말 고맙구려~” 退溪는 부인이 반푼이긴해도 기특한 마음까지 들었지요 “어서 입어보세요 ~” 권씨 婦人은 부끄러운듯 얼굴을 붉히며 고개를 한쪽으로 돌렸다. 退溪는 흐뭇한 미소를 띠며 개켜진 두루마기를 펼쳐 들었는데 그 순간 退溪는 한동안 입을 다물지 못했다. 권씨 婦人이 지은 두루마기의 소매가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을뿐 아니라 앞깃도 짧고 또 엉뚱한 자리에 붙어 있어 도저히 입을 수가 없었다. 退溪는 어이가 없어 껄껄껄 웃음을 터뜨렸지요 그러자 “그리도 좋으십니까? 서방님?” 권씨 婦人은 退溪의 속을 알지도 못하고 그렇게 말하며 따라 웃었다. 退溪는 아무말 않고 그 두루마기를 입으며 또 한번 껄껄 웃음을 터트렸지요 헌데 이런 일이 있는지도 모르는 弟子들은 “우리 스승님은 정말 뭐가 달라도 다르시구나 !! 저런 반푼이 사모님을 맞아 愛之重之 하시니 말이야 " "그래맞어~ 저런 반푼이 사모님이 무얼 알겠어? 그런데도 저렇게 열심히 아끼고 계시니... " 退溪의 弟子들은 疑訝해 하였지요 그러던 어느날 退溪의 弟子들과 栗谷의 弟子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 自己의 스승이 當代 최고의 도덕군자(道德 君子)라고 우기고 있었어요 兩側의 主張이 膨膨하게 맞서 決論이 나질 않자 한사람이 提案을 했다. 우리가 알고있는 두 스승님은 當代 最高의 聖賢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우리는 이분들의 낮의 生活相만 눈여겨 보았지 밤의 生活相은 본적이 없으니 우리 두분의 밤 生活相을 본 연후에 어느분이 훌륭한 분인가를 가리기로 함이 어떤가? "그거 아주 좋은 생각이네!!" 그렇게 해서 두분 스승님의 방사(房事)現場을 엿보기로... 다음날 밤 退溪와 栗谷의 弟子들은 栗谷스승님 집에 몰래 숨어 들어가 栗谷의 夫婦 關係를 훔쳐 보았어요. "婦人!! 아랫목이 따뜻하니 어서 옷을 벗으시지요~" 謹嚴한 栗谷스승의 목소리가 들려왔어요. 곧이어 사모님이 겉옷만 벗고 속옷은 입은채 자리에 누웠지요. 이어서 栗谷스승이 바지 고이춤만 내리더니 "어험.." 하며 한마디 헛기침을 하시며 점잖게 거시기를 꺼내 조용하게 아주 조용하게~ ``` 넣다 뺏다를 거듭하며 房事일을 끝내는 것이었어요. 이를 숨죽이고 보던 兩側 弟子들은 ' 방사행위(房事 行爲)도 역시 道德君子 처럼 하시는군! 아! 정말 대단하신 스승님 이구나' 했지요 그 다음날 弟子들은 이번에는 退溪스승의 歡樂 現場으로 갔다. 아뿔사 ~~ 退溪스승은 栗谷스승과는 달리 完全裸體가 되도록 婦人의 옷을 모조리 벗기고 自身도 홀라당 벗더니 두 裸體가 이리딩굴 저리딩굴 하면서 전기(前技)를 시작하는데 유두(乳頭)를 빨고] 귓밥을 빨고 설교(舌交)를 하고 이어 옥문(玉門)과 계관(鷄冠)을 간지럽히자 좀 모자라는 권씨婦人은 몸을 요리조리 비틀고 교성(嬌聲)을 지르기 시작하더니 비로소 용두(龍頭)를 옥문(玉門)에 집어 넣었는데 요란 뻑쩍지근 했지요. 천둥과 번개가 치고 비바람이 세차게 몰아치며 업치락 뒷치락 성난波濤가 따로 없었어요 좀 모자라는 권씨婦人는 허리가 활처럼 휘어지고 요분질을 치는데 좌삼삼 우삼삼 숨이 끊어질듯~ ~ 嬌聲은 亂舞하고 喜悅에 넘쳐 온몸에 痙攣(경련)을 일으키고 부들부들 떨기까지 하였지요. 이런 狂亂(?)의 現場을 훔쳐본 退溪와 栗谷의 弟子들.... 입을 다물지 못하고 한동안 말이 없었지요. 한참후 精神을 차리고 나니...... 한쪽(栗谷)은 희희낙낙(喜喜樂樂)이요. 한쪽(退溪)은 똥바가지를 뒤집어 쓴 몰골이었다. 다음날 落心한 退溪 弟子들은 退溪스승님 집으로 우르르 몰려 갔다. "스승님 저희들은 오늘 下直 人事차 왔습니다" "그게 무슨 말인가?" "저희는 스승님께서 當代 第一의 道德君子라고 생각하고 스승님을 尊敬했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도무지 얼굴을 들고 다닐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깜짝놀란 退溪스승이 "도대체 그게 무슨 소린가? 자세히 얘기해 보거라" "죄송스럽게도 저희들이 어젯밤 스승님 집에 몰래 들어가서 침을 발라 문창호지를 뚫고 스승님의 방사(房事)場面을 엿보았습니다" 退溪의 弟子들은 그간 栗谷의 弟子들과 함께 보았던 이야기를 해드리고 스승님의 亂雜한 房事 場面에 크게 失亡했다고 말씀드렸지요. 그러자 弟子들의 얘기를 다 듣고 난 退溪선생이 말했다. "어허! 栗谷이 그러하든가? 그렇다면 栗谷은 後孫이 貴하겠구만!" "스승님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자네들은 구름도 바람도 없는 맑은 하늘에서 비가 오는것을 본적이 있는가? 먹구름이 몰려오고~ ~ 천둥과 번개, 그리고 바람이 불어와야, 비로소 비가 내리거늘 ... 자네들은 조용한 하늘에서 비가 내릴수 있다고 생각하는 겐가?” 弟子들은 退溪의 말에 한마디 말도 못하고 잠자코 귀를 기울였다. “내가 夫婦간의 잠자리에 있어 亂雜하다고 할지 모르나 陰陽이 교합하는데 어찌 조용할수 있겠는가? 오히려 율곡이 그리 점잖게 咬合을 한다는 것이야말로 陰陽相生의 理致에 맞지 않는 것이 아닌가? 모든 萬物은 陰陽이 合하여 生成되거늘 혹여 栗谷에게 後嗣가 없을까 걱정이 되는구나…” 그러면서 退溪는 陰陽相生의 이치를 들어 男女의 性交에 대해 차근차근 說明해 주었다. 운우지정(雲雨之情)이란? "구름과 비가 나누는 情"이라는 뜻으로 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인데 中國 楚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婦人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婦人이 떠나면서 "自己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古事에서 由來한 것이다. "자고로 예나 지금이나 큰비가 내리려면 먹구름이 몰려오고 바람이 불고 천둥번개가 搖亂해야 하는법 그것이 天地간의 自然的인 攝理가 아니 겠는가? 그래서 夫婦 關係를 운우지정(雲雨之情)이라 했느니라 !! " 이 말을 들은 退溪의 弟子들은 운우지정(雲雨之情)의 새로운 참뜻을 알게 되었지요 또한 "人間은 아무리 道德君子라 해도 夫婦關係에 있어서는 낙(樂)이 있어야 하는법 자네들도 알다시피 반푼인 우리 마누라가 그런 낙(樂)도 없으면 어찌살겠는가? 낙(樂)중에서 으뜸낙(樂)이 운우지락(雲雨之樂)인것을...... 夫婦關係에서 운우지락(雲雨之樂)을 느끼는것은 自然이 주는 크나큰 福이 아니겠는가? 그것은 天地間에 咬合의 膳物이니 많이 느낄수록 좋은것이므로 자네들도 많이 느끼며 살게나 ~~ " 그러면서 여자는 자고로 "밤이 즐거워야 탈이 없는법" 人間은 아무리 반푼인 사람이라도, 굼뱅이도 딩구는 재주가 있듯 저마다 한가지씩은 長點이 있는 法이거늘 ... 아마도 우리 마누라는 반푼이지만 색(色)에는 남다르게 뛰어난 재주가 있나 보네 !! 껄껄껄....." 그래서 退溪의 弟子들은 또한가지 운우지정(雲雨之情)에 이어 운우지락(雲雨之樂)까지 益히게 되었으며 人間은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저마다 재주가 있음을 배웠다고 하지요. 하여 옛시조에 봉린지란(鳳麟芝蘭) 천생연분(天生緣分) 운우지정(雲雨之情)이라 했지요 즉 봉황과 기린처럼 잘난 남자와 蘭草처럼 어여뿐 女人이 하늘이 定하여준 緣分으로 만났으니, 먹구름이 세찬비를 만나듯 진한 情分을 나누라는 뜻이라 하지요 그래서 그런지 退溪 선생은 婦人을 둘이나 두었으며 末年에는 기생두향(杜香)과 뜨거운 사랑을 나누었으며 퇴계와 두향 !! 栗谷 선생은 後孫이 貴했다고 하지요. 출처 : 녹림처사:조동렬(일송)님 글에서 발췌 會員님들의 幸福을 기대합니다


    후리지아 향을 그대 품안에...